[분석 경고] PECH(페페캐시), 밈코인 탈을 쓴 유틸리티?…스캠 가능성 우려도 제기

최근 글로벌 거래소 비트마트에 상장된 PECH(페페캐시)가 실사용성을 강조한 Web3 유틸리티 코인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구조적 불확실성과 혼동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공식 채널과 코인마켓캡 등록 등 일부 신뢰지표는 확인되지만, 온체인 감사 내역, 개발자 실명 정보, 기술 백서 등 핵심 정보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과거 스캠 논란이 있던 유사명칭 코인들과 혼동될 소지가 있어, 투자자들의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https://www.bitmart.com/trade/en-US?type=spot&symbol=PECH_USDT

텔레그램 그룹명: Pepe Chain 🐸 | Certik | SAFU
참가자: 약 4,000명
자동 감지 봇: PepeChain COMBOT

1. 주요 의혹 및 투자 주의 요소

① 실사용성 기반 주장에 대한 검증 부족

프로젝트 측은 NFT, 결제, 포인트 연동 등 Web3 실사용 구조를 표방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DApp 또는 실 사용 사례에 대한 실증 데이터(일간 사용자 수, 온체인 거래량 등)는 공개되어 있지 않다. ‘페페페이월렛’ 등 시스템은 소개되고 있으나, 실제 구동 화면이나 트랜잭션 로그 등은 외부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② 스마트컨트랙트 감사 및 개발자 정보 미공개

2025년 7월 기준, PECH에 대한 제3의 보안 감사(Audit) 보고서는 코인마켓캡, 공식 사이트, 깃허브 등에 게시되어 있지 않다. GitHub 등 코드 저장소도 확인되지 않으며, 핵심 개발자 및 프로젝트 운영팀의 실명/경력 정보 또한 비공개 상태다. 이로 인해 rug pull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긴 어렵다.

③ 마케팅 중심 확산 구조

상장 직후 비트마트 AMA, 에어드랍 이벤트 등을 통해 빠르게 커뮤니티를 형성한 점은 긍정적일 수 있으나, 실체보다 마케팅에 의존하는 구조는 과거 일부 김치코인 사례들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참고로 비트마트는 중형 거래소로서, 상장 심사 절차가 타 글로벌 CEX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유사명칭 스캠코인과의 혼동 가능성

PECH(페페캐시)는 이름상 PEPECASH 또는 기타 ‘페페’ 계열의 밈코인들과 유사하다. 과거에는 PEPECASH 이름으로 에어드랍·피싱 피해 사례가 보고된 바 있으며, PECH와는 다른 프로젝트임에도 일부 투자자들이 혼동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링크트리 및 SNS 활동 등은 공식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외부 플랫폼에서의 검색 결과가 명확히 분리되지 않아 인지 혼선의 여지는 남아 있다.

3. 커뮤니티 중심 구조와 법적 책임 여부

PECH는 커뮤니티 중심 탈중앙화를 표방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법인명, 운영 주체, 실제 위치, 재단 여부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는 ICO/토큰 세일 이후 문제가 발생할 경우, 법적 책임 소재 파악이 어려워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에서 자주 제기되는 투명성 이슈와 관련되어 있다.

4. 투자 전 확인할 사항 정리

항목상태 (2025년 7월 기준)
스마트컨트랙트 감사 내역미공개
실사용 앱 또는 지갑외부에서 검증된 실사용 예 미확인
온체인 지표 (활성 지갑, TPS 등)공식 발표 없음
기술 백서/로드맵개요 수준 설명만 존재
개발자 실명/경력 공개 여부비공개
GitHub 등 소스코드외부 검색 불가
커뮤니티 기반 운영 구조법적 책임 주체 불명확
결론 및 권고 사항

PECH는 밈코인의 이미지를 넘어 Web3 유틸리티를 표방하며 BitMart에 상장된 프로젝트로, 커뮤니티 활동 및 마케팅 측면에서는 활발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시점에서는 개발자 투명성, 감사 보고서, 실제 유스케이스 검증 등이 부족한 상태다. 특히 기존 유사 명칭 스캠코인과의 혼동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투자자 주의가 요구된다.

코인킬러 분석팀은 PECH를 “지속 관찰이 필요한 프로젝트”로 분류하며, 아래와 같은 주의사항을 권고한다.

  • 공식 보안 감사 내역 확인 전 고위험 투자 지양
  • 지갑 연동·에어드랍 참여 시 신중 대응 필요
  • 기술 구조와 실사용 사례 확인 전 커뮤니티 중심 마케팅에 휩쓸리지 말 것
  • 기존 PEPECASH 계열과 명확히 구분하고, 스마트컨트랙트 주소 철저히 비교할 것

FAQ (주의 권고 관점)

Q. PECH는 스캠인가요?
A. 공식 스캠으로 규정되진 않았습니다. 그러나 정보 비공개 항목이 많아 고위험군 프로젝트로 분류됩니다.

Q. PECH와 PEPECASH는 같은 코인인가요?
A. 아닙니다. 다른 프로젝트이며, 체인 및 계약 주소도 상이합니다. 단, 이름 유사성으로 혼동 위험이 존재합니다.

Q. 실사용성이 있다는데 실제 쓰고 있나요?
A. 현재까지 외부 지갑, 결제 등 구체적 사용 사례는 공식 데이터로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Q. 상장만으로 안전한 프로젝트 아닌가요?
A. 아닙니다. 특히 중소형 거래소 상장은 검증이 아닌 마케팅 수단일 수 있어, 실체 확인이 필요합니다.

작성: 코인킬러 리서치팀 (c-kill.com)
이 콘텐츠는 투자 주의 목적의 분석 자료이며,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제보: c.kill.com@gmail.com

코인킬러 캐릭터
코인킬러 캐릭터
투자사기 유형과 예방 및 대처 방안

① 예방법

다양한 스캠사기에 대한 예방법을 확인하세요! 고수익을 인증하며 투자를 권유하는 스캠의 대부분은 처음부터 사기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스캠코인’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투자자들이 적지 않은데요.
내가 투자하려는 코인이 스캠코인인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서 먼저 스캠코인 검색사이트 등을 이용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해당 프로젝트 홈페이지에 들어가 프로 젝트 팀 정보, 개발이 진행 중인 프로젝트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목표, 로드맵, 진행방향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백서를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② 대응책

스캠사기를 당했을 때 행동요령!
스캠사기를 당하신 경우 디지털 자산을 전송한 지갑주소, 입금 내역, 대화 내역 등 증거자료를 지참하여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③ 신고방법

다양한 상황에 맞는 신고처를 확인하세요!

사이버범죄 신고/상담

경찰민원포털 접속
‘사이버범죄 신고/상담’ 메뉴 클릭
‘신고하기’ 를 통하여 사이버범죄 신고

코인킬러

거래지원사기 및 금융사고 접수

코인킬러 고객센터 사고 접수
코인킬러 상담원에게 1:1 문의하기
코인킬러 고객센터 거래지원 관련 사기 제보

ckill

금융사기 신고/상담

금융감독원 콜센터를 통해
사기피해 신고 접수
☎ 콜센터 1332

코인킬러

해킹・스팸개인정보침해신고

☎ 국번없이 118

코인킬러
[분석 경고] PECH(페페캐시), 밈코인 탈을 쓴 유틸리티?…스캠 가능성 우려도 제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