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 50~100킬로미터 상공 중간권처럼 극도로 낮은 기압 환경에서 별도 연료 없이 햇빛만으로 비행할 수 있는 신개념 비행체 기술이 국제 공동 연구팀에 의해 실험적으로 구현됐다.
하버드대, 시카고대, 국립부경대 등으로 구성된 연구진은 8월 14일 과학저널 ‘네이처’를 통해, 극저압 환경에서 햇빛을 통해 자연적인 부양력이 발생하는 물리 현상인 ‘광영동(photophoresis)’ 원리를 실제 비행체 제작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손톱 크기(1제곱센티미터)의 나노구조 체계를 활용해 광영동 부양력을 발생시키는 경량 비행체를 제작하고, 이를 지상에서 중간권 조건을 모사한 실험실 환경에서 테스트했다.
광영동은… 더보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