밈코인이 블록체인의 신규 이용자 유입에 기여할 수는 있지만, 실질적인 수익은 이 토큰을 유통·출시하는 플랫폼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 리서치(Galaxy Research)가 3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트레이더는 단기적 ‘도박’에 가깝게 밈코인을 거래하다 손실을 입는 반면, 런치패드나 탈중앙화 거래소, 트레이딩 봇과 같은 인프라 제공자는 수백억 원대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보고서는 특히 솔라나(SOL) 기반 밈코인 런치패드인 펌프펀(Pump.fun)을 주목했다. 2024년 초에 출범한 이 플랫폼은 해당 시점까지 등록된 토큰들의 완전 희석 시가총액이 약 48억 달러(약 6조 6,72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더보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