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사이버 공격이 고도화되면서 해킹 사고에 대한 국가적 대응 체계의 미비와 기업들의 낮은 보안 인식이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며, 최근 발생한 대형 해킹 사고를 계기로 이중적인 대응 체계와 민간 보안 역량 부족이 동시에 도마 위에 올랐다.
현재 우리나라 사이버 보안 대응 체계는 금융과 비금융 부문으로 이원화돼 있다. 금융 분야는 금융위원회와 산하 금융보안원이, 일반 기업을 포함한 비금융 부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각각 관리하는 구조다. 이런 체계는 현실과의 괴리를 낳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 9월 발생한 KT와 롯데카드 해킹은 각각 다른 부처가 담당하면서… 더보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