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의 수익형 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암호화폐 업계에서도 이 흐름을 반영한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이 새로운 투자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히 미 달러에 가치를 고정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보유만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췄다는 점에서 기존 스테이블코인과 차별화된다. 최근 시장에서는 미국 국채 기반 모델부터 탈중앙화파이낸스(DeFi), 파생상품 연계형 등 다양한 방식의 수익형 토큰이 등장하고 있다.
기존에는 테더(USDT), USDC 등과 같은 스테이블코인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였지만, 이제는 국채에 투자해 수익을 창출하거나, 디파이 모듈에 예치해 금리를 받고, 파생상품… 더보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