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정책, 한국 성장률 올해 0.45%p·내년 0.6%p 깎아

“美 관세정책, 한국 성장률 올해 0.45%p·내년 0.6%p 깎아

 

한은 “금속·자동차·기계 타격 커…영향 점차 나타날 것”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면제되던 미국 관세가 최근 협상을 통해 다시 부과되면서, 우리나라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1일 공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관세 인상이 없는 경우와 비교해 새 미국 관세정책은 올해와 내년 우리나라 성장률을 각 0.45%p, 0.60%p 낮출 것으로 추정됐다.

 

 

미국 관세 영향은 크게 무역·금융·불확실성 경로를 통해 한국 경제에 전달되는데, 우선 무역 측면에서 미 관세 인상으로 수출 비용이 오르고 미국 내 물가 상승으로 총수요도 줄어들면 대미 수출이 축소된다.

 

품목 중에서는 특히 대(對)미국 수출 비중이 크고 높은 관세율이 적용되는 금속·자동차·기계 등의 타격이 클 것으로 우려됐다.

 

금융 측면에서도 미국 관세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을 키워 미국 통화정책이 더 긴축적으로 운영되면, 국내외 금융 여건 개선이 지연돼 실물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불확실성 경로는 기업과 가계가 미국 관세 상황을 지켜보며 경제 의사 결정을 늦추는 데 따른 투자·소비 위축 현상을 말한다.

 

각 경로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영향은 각 ▲ 무역 -0.23%p·-0.34%p ▲ 금융 -0.09%p·-0.10%p ▲ 불확실성 -0.13%p·-0.16%p로 추정됐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올해 상반기까지는 미국 기업의 재고 축적과 이에 따른 다른 국가의 대미 선(先)수출 효과, 기업의 관세 부담 분담 등으로 관세 정책의 영향이 제한적이었지만 앞으로는 영향이 가시화될 것”이라며 “대미 철강·자동차부품 수출을 중심으로 영향이 커지고 있고, 자동차 수출 역시 미국 내 자동차 시장 환경 악화로 점차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 

“美 관세정책, 한국 성장률 올해 0.45%p·내년 0.6%p 깎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