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간 한국에서 체류하며 연구활동을 수행한 외국인 인력 가운데 인도와 중국 출신이 60% 넘는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간 유입 분포가 특정 지역에 쏠려 있다는 지적과 함께, 연구 분야의 안보적 고려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정헌 의원이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연구 비자(E-3)를 발급받고 국내에 체류 중이거나 체류했던 외국인은 총 4,629명(중복 포함)이었다. 이 가운데 인도 출신이 2,262명으로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고, 중국 출신이 518명으로 뒤를 이었다. 두 나라를 합한 비율은 전체의 60.1%에… 더보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