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기술의 확산이 우리 사회의 고용 구조와 교육 선택에 적지 않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청년층의 고용은 증가한 반면 중장년층의 일자리는 줄어들었으며, 대학 진학 비율 역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기술 혁신과 노동시장·인적자본의 변화 – 로봇 도입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20년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로봇 활용이 증가한 지역은 45세 미만 청년층의 고용률이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5세에서 34세 사이의 고용 증가 폭이 컸다. 반면 45세 이상, 특히 45세에서 54세 연령층은 고용률이 눈에 띄게 하락하면서, 로봇 도입에 따른… 더보기


답글 남기기